등차수열 합 공식 : 유도과정, 예제, 활용방법

등차수열 합 공식 : 유도과정, 예제, 활용방법 | 수학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등차수열 합 공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등차수열은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 개념이므로 이해하고 나면 여러 상황에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그럼 지금부터 등차수열 합 공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
등차수열이란?

등차수열 합 공식

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항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합니다. 예를 들어 2, 4, 6, 8, 10… 과 같이 매번 2씩 증가하는 수열이 등차수열입니다. 이때 두 항의 차이를 ‘공차‘라고 부릅니다.

등차수열의 일반항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an = a1 + (n-1)d

여기서 a1은 첫 번째 항, n은 항의 순서, d는 공차를 나타냅니다.

등차수열 합 공식

등차수열의 합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Sn = n(a1 + an) / 2

여기서 Sn은 n번째 항까지의 합, a1은 첫 번째 항, an은 n번째 항을 나타냅니다.

이 공식은 가우스가 어린 시절에 발견했다고 알려진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.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를 더하라는 선생님의 과제에 가우스는 순식간에 답을 제출했다고 합니다.

그가 사용한 방법이 바로 이 등차수열의 합 공식이었습니다.

등차수열 합공식 유도 과정

등차수열 합공식을 어떻게 유도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
  1. 먼저 등차수열의 합을 순서대로 나열합니다.
    Sn = a1 + a2 + a3 + … + an-1 + an
  2. 같은 식을 역순으로 나열합니다.
    Sn = an + an-1 + an-2 + … + a2 + a1
  3. 위의 두 식을 더합니다.
    2Sn = (a1 + an) + (a2 + an-1) + … + (an-1 + a2) + (an + a1)
  4. 괄호 안의 값들은 모두 (a1 + an)과 같습니다. 그리고 이런 괄호가 n개 있습니다.
    2Sn = n(a1 + an)
  5. 양변을 2로 나누면 최종적인 등차수열 합 공식이 도출됩니다.
    Sn = n(a1 + an) / 2

등차수열합 공식 활용 예제

등차수열합 공식을 실제로 어떻게 활용하는지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.

예제 1: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의 합

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는 공차가 1인 등차수열입니다.

  • a1 = 1 (첫 번째 항)
  • an = 100 (마지막 항)
  • n = 100 (항의 개수)

등차수열합 공식에 대입하면
S100 = 100(1 + 100) / 2 = 100 × 101 / 2 = 5050

따라서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의 합은 5050입니다.

예제 2: 2의 배수의 합

2부터 시작해서 2씩 증가하는 수열의 10번째 항까지의 합을 구해봅시다.

  • a1 = 2 (첫 번째 항)
  • d = 2 (공차)
  • n = 10 (항의 개수)

먼저 10번째 항(a10)을 구해야 합니다.


a10 = a1 + (n-1)d = 2 + (10-1)2 = 2 + 18 = 20

이제 등차수열합 공식에 대입하면
S10 = 10(2 + 20) / 2 = 10 × 22 / 2 = 110

따라서 2의 배수 10개의 합은 110입니다.

등차수열 합공식의 실생활 응용

등차수열의 합 공식은 실생활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됩니다. 몇 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.

1. 저축 계획

매월 일정 금액씩 저축을 늘려나가는 경우,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해 총 저축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 첫 달에 10만원을 저축하고 매월 5만원씩 늘려나간다면 1년 후의 총 저축액은 얼마일까요?

  • a1 = 10만원 (첫 달 저축액)
  • d = 5만원 (매월 증가액)
  • n = 12 (12개월)

a12 = 10 + (12-1)5 = 10 + 55 = 65만원

S12 = 12(10 + 65) / 2 = 12 × 75 / 2 = 450만원

따라서 1년 후의 총 저축액은 450만원입니다.

2. 건물 층수에 따른 계단 수

건물의 층수가 올라갈수록 계단의 수가 일정하게 증가한다고 가정해봅시다.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20개이고, 매 층마다 2개씩 계단이 늘어난다면 1층에서 10층까지 오르는데 필요한 총 계단 수는 몇 개일까요?

  • a1 = 20 (1층에서 2층으로 가는 계단 수)
  • d = 2 (매 층 증가하는 계단 수)
  • n = 9 (1층에서 10층까지는 9번의 층간 이동)

a9 = 20 + (9-1)2 = 20 + 16 = 36S9 = 9(20 + 36) / 2 = 9 × 56 / 2 = 252따라서 1층에서 10층까지 오르는데 필요한 총 계단 수는 252개입니다.

등차수열합 공식의 주의점

등차수열합 공식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.

  1. 첫 번째 항과 마지막 항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.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를 잘 확인하세요.
  2. 항의 개수(n)를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. 특히 시작 번호가 1이 아닌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.
  3. 공차가 음수인 경우도 있습니다. 이 경우 수열이 감소하는 형태가 되지만, 공식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  4. 큰 수의 계산에서는 계산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특히 n이 큰 경우 계산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등차수열합 공식 관련 연관 검색어

등차수열합 공식과 관련된 연관 검색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:

  1. 등차수열 일반항
  2. 등비수열 합 공식
  3. 수열의 극한
  4. 시그마 표기법
  5. 가우스 덧셈 공식
  6. 수열의 수렴과 발산
  7. 수학적 귀납법
  8. 피보나치 수열

이러한 개념들은 등차수열합 공식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등차수열 합 공식 마무리

지금까지 등차수열의 합 공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. 등차수열합 공식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.

이 공식을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복잡해 보이는 계산도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.

수학은 때로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렇게 하나씩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해 나가다 보면 점점 더 재미있어질 것이라 생각됩니다.

여러분도 등차수열합 공식을 활용해 볼 수 있는 상황을 주변에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.

[저작권자(c) 클럽코리아 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]